30년의 정부 숙원사업, 경주 방폐장 준공 - 교육신문사-
  • HOME
모바일보기
회원가입 로그인
2025년05월17일sat
뉴스홈 > 경제/사회 > 지역
2015년09월01일 17시30분 235
쪽지신고하기 기사내용 이메일보내기 뉴스프린트하기 뉴스스크랩하기
네이버 밴드 공유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경상북도는 28일 경주 방폐장에서 김관용 경북도 도지사, 황교안 국무총리, 최양식 경주시장, 정수성 국회의원을 비롯하여 관련 유관기관장과 지역주민 등 1,000여명이 자리한 가운데 30년의 정부 숙원사업이었던 방폐장 준공식을 개최했다.

지난해 12월 11일 원자력안전위원회로부터 사용승인 허가를 받은 경주 방폐장은 올해 7월 13일 최초로 16드럼의 방폐물을 처분했으며, 본격적인 운영에 앞서 이날 준공식을 가졌다.

경주 방폐장은 지난 1986년 정부 방폐장 부지선정 작업 시작 후 아홉차례에 걸쳐 후보지 공모에 신청했으나 모두 실패로 돌아갔고, 2005년 유치지역지원특별법을 공포(’15.3.31)하고 4개 시·군(경주, 군산, 영덕, 포항) 주민투표에 의해 가장 높은 지지율을 보였던 경주가 최종 방폐장 부지로 확정(‘05.11.2)됐다.
* 선정경과 : 안면도(1990) → 굴업도(1994) → 부안(2004) → 경주(2005)

방폐장은 전체규모 80만 드럼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번 1단계 처분시설은 총사업비 1조 5,436억 원이 투입되어 10만 드럼 규모의 동굴처분방식으로 건설됐다.

2단계 공사는 12.5만 드럼 규모의 천 층 처분 방식으로 추진될 계획이며 현재 환경영향평가 주민 공청회까지 추진돼 있는 상황이다.

이날 황교안 국무총리는 방폐장 부지확보사업의 첨예한 갈등을 주민투표와 경주지역주민들의 협조와 양보를 거쳐 민주적인 방식으로 해결한 모범사례라고 극찬하면서 방폐장 건설을 위해 노력한 종사자들을 격려하고 치하했다.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정부 에너지정책의 최대 지지자는 바로 경북이며, 경주를 비롯해 우리 道 내 원전(예정) 지역인 울진, 영덕은 묵묵히 정부 에너지정책을 따라 주었으나 최근 영덕 신규원전 추진에 대한 반대여론에 대해서는 중앙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 한울원전 대타협(’14.11월), 월성1호기 수명연장 수용(’15.6월), 영덕신규원전 건설(’15.7월) 등

또한 김관용 도지사는 원전 관련 지역의 민심을 전달하는 한편, 원자력해체기술종합연구센터, 제2원자력연구원, 방폐장 유치지역 지원사업 우선 추진 등을 건의하면서 대한민국 원자력의 미래를 책임지고 있는 경상북도가 동해안 원자력클러스터 조성사업의 시너지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도록 정부가 정책적으로 배려해 줄 것을 건의했다.
올려 0 내려 0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장선희 (gracejang01@daum.net) 기자 
이 기자의 다른뉴스보기
지역섹션 목록으로
경남도, 자체개발 1톤 전기화물차 운행개시 (2015-09-01 17:36:41)
대구-괌 노선 확정, “대구 하늘에 미국 길 열린다” (2015-08-24 16:08:36)
경석호 감독의 신작...
경석호 감독의 신작 영화 ‘착한여자’에서 신예 ...

해당섹션에 뉴스가 없습니다
교육신문사 홈페이지 새단장 하였습니다.
회사소개 개인정보보호정책 이용약관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공지사항 독자투고 기사제보
교육신문사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 보호를 받으며, 무단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

등록번호: 문화관광부 다04527 | 등록일: 1996. 01. 18 | 발행인: 이정동 | 편집인: 남기철 |
상 호 명: 교육신문사 | 사업자번호:107-99-39509 |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동 3가 91-1번지 4층 403호
신문광고.인터넷관련 02-2632-9494 | 신문구독.서적관련 02-2632-9495 |
TEL: (02)2632-9494 | FAX: (02)2632-9495

Copyright(c) 1996 ~ 2025 교육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Mail to: eduinews@edu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