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노후 하수관 1㎞당 1곳, 지반침하(싱크홀) 우려 - 교육신문사-
  • HOME
모바일보기
회원가입 로그인
2025년05월05일mon
뉴스홈 > 경제/사회 > 환경
2015년02월27일 18시18분 134
쪽지신고하기 기사내용 이메일보내기 뉴스프린트하기 뉴스스크랩하기
네이버 밴드 공유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전국의 노후 하수관 1㎞당 1곳 정도는 지반침하(싱크홀)를 일으킬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작년 9월부터 두 달간 전국 하수관로의 1.3%인 1천637㎞에 대한 긴급 점검을 시행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최근 도심지를 중심으로 지반침하 현상이 잇따르자 지반침하 원인의 하나로 지목된 노후하수관 실태를 점검하기 위해 실시됐다.
 
조사는 지름 1m가 넘는 20년이 넘는 하수관로 중 과거 지반침하가 발생했거나 건물과 지하철 등 지하굴착공사가 시행된 지역을 중심으로 전국 130개 지자체에 의해 폐쇄회로(CC)TV와 육안으로 조사가 이뤄졌다.
 
그 결과 파손이나 누수 등 결함이 나타난 관로는 총 9천835곳이 발견됐다. 관로 1㎞당 4.8곳에서 결함이 발견된 것이다.
 
이 중 균열·누수 등 일반 결함이 있는 경우는 8천353곳으로 지반침하 영향이 적은 결함이라고 환경부는 설명했다.
 
관 파손이나 이음부 이격, 토사 유입 등으로 지반침하를 유발할 수 있는 결함이 1천582곳에 달했다. 하수관 1㎞당 지반침하 결함 수는 0.8곳으로 조사됐다.
 
전체 결함 9천835곳 중 절반에 가까운 4천684곳이 특·광역시에 몰려 있었다. 시 지역은 4천472곳, 군 지역은 679곳 등이었다.
 
환경부는 파손 등 결함이 발견된 관로 중 정비가 시급한 곳에 대해 개보수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조사 기간에 지반침하 우려가 있는 것으로 관찰된 1천582곳 중 실제로 29곳에서 싱크홀이 나타났다. 발생 규모를 보면 가로·세로 1m 크기가 20곳, 1∼1.5m가 6곳, 1.5∼2m가 3곳으로 주로 소규모 싱크홀 위주였다.
 
2013년 기준으로 전국 하수관 길이는 12만6천591㎞다. 이 중 20년 이상 된 하수관은 3만7천564㎞로 전체의 30%다. 30년이 넘는 하수관은 12%인 1만5천746㎞다.
 
환경부는 올해 하수관로 정밀조사비로 350억원을 확보했고, 이 중 50억원을 서울시에 지원할 계획이다. 또 조사 결과에 따라 노후 하수관로의 개보수와 교체를 위한 정비사업을 확대하기로 했다.
 
아울러 하수관로 정밀조사 결과를 하수도정보종합시스템에 등록해 하수관 유지관리를 위한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코리아프레스]
올려 0 내려 0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장선희 (gracejang01@daum.net) 기자 
이 기자의 다른뉴스보기
환경섹션 목록으로
서울시, 인왕산에 네번째 ‘탄소 상쇄 숲’ 조성 (2015-04-06 06:03:33)
한국공항공사, 전국공항 年이용객 6000만 돌파 초읽기에 들어가 (2014-12-18 09:24:08)
경석호 감독의 신작...
경석호 감독의 신작 영화 ‘착한여자’에서 신예 ...

해당섹션에 뉴스가 없습니다
교육신문사 홈페이지 새단장 하였습니다.
회사소개 개인정보보호정책 이용약관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공지사항 독자투고 기사제보
교육신문사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 보호를 받으며, 무단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

등록번호: 문화관광부 다04527 | 등록일: 1996. 01. 18 | 발행인: 이정동 | 편집인: 남기철 |
상 호 명: 교육신문사 | 사업자번호:107-99-39509 |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동 3가 91-1번지 4층 403호
신문광고.인터넷관련 02-2632-9494 | 신문구독.서적관련 02-2632-9495 |
TEL: (02)2632-9494 | FAX: (02)2632-9495

Copyright(c) 1996 ~ 2025 교육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Mail to: eduinews@edu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