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비 지출 양극화 심화...고소득층 지출이 저소득층의 8배 - 교육신문사-
  • HOME
모바일보기
회원가입 로그인
2025년05월14일wed
뉴스홈 > 교육뉴스 > 교육뉴스
2015년02월27일 18시22분 116
쪽지신고하기 기사내용 이메일보내기 뉴스프린트하기 뉴스스크랩하기
네이버 밴드 공유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교육비 지출 관련 양극화 현상이 더욱 심해지는 모습이다. 지난해 고소득층의 교육비 지출액이 저소득층의 8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통계청의 '2014년 가계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소득 5분위(상위 20%) 가구가 교육비로 쓴 금액은 월평균 52만9천400원으로 소득 1분위(하위 20%) 가구 6만6천800원의 7.93배나 됐다.
 
소득 수준별로는 2분위 20만700원, 3분위 27만5천700원, 4분위 35만3천원 등이다. 소득이 많을수록 교육비에 많은 비용을 지출하는 셈이다.
 
소득 5분위와 1분위의 지난해 월평균 소득은 각각 812만9천500원, 146만500원이다. 두 집단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각각 398만6천900원, 125만7천100원이었다.
 
교육비(7.93배)는 소비지출의 12개 항목 중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의 지출 격차가 가장 큰 항목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교통(5.01배), 오락·문화(4.86배), 의류·신발(4.58배), 기타 상품·서비스(4.37배), 음식·숙박(3.89배) 등은 소득계층별 지출 격차가 큰 항목에 속했다.
 
반면에 보건(1.81배), 식료품·비주류음료(1.71배), 주거·수도·광열(1.60배), 주류·담배(1.40배) 등은 상대적으로 격차가 적은 편이었다.
 
전문가들은 소득계층별 교육비 지출 차이가 큰 것에 대해 우려를 표하고 있다.
 
성태윤 연세대 교수는 "고소득층 자녀는 양질의 추가 교육(사교육)을 받고, 저소득층 자녀는 기본적인 학교 교육(공교육)만 받으면 부모·자녀 세대 간 계층의 고착화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실제로 최필선 건국대 교수와 민인식 경희대 교수의 최근 논문에 따르면 두 교수가 2004년 중학교 3학년이었던 2천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부모의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자녀에게 보다 양질의 교육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고소득층 부모를 둔 자녀일수록 10년 뒤 임금을 더 많이 받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면서 ‘부의 대물림’ 현상이 심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코리아프레스]
올려 0 내려 0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장선희 (gracejang01@daum.net) 기자 
이 기자의 다른뉴스보기
교육뉴스섹션 목록으로
학교와 지역사회가 "희망 날개를 달다" (2015-04-07 16:23:16)
경석호 감독의 신작...
경석호 감독의 신작 영화 ‘착한여자’에서 신예 ...

해당섹션에 뉴스가 없습니다
교육신문사 홈페이지 새단장 하였습니다.
회사소개 개인정보보호정책 이용약관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공지사항 독자투고 기사제보
교육신문사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 보호를 받으며, 무단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

등록번호: 문화관광부 다04527 | 등록일: 1996. 01. 18 | 발행인: 이정동 | 편집인: 남기철 |
상 호 명: 교육신문사 | 사업자번호:107-99-39509 |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동 3가 91-1번지 4층 403호
신문광고.인터넷관련 02-2632-9494 | 신문구독.서적관련 02-2632-9495 |
TEL: (02)2632-9494 | FAX: (02)2632-9495

Copyright(c) 1996 ~ 2025 교육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Mail to: eduinews@eduinews.com